요즘 카카오톡 상태 메세지에 궁금증을 자아내는 초성만 남겨 놓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.
저 때는 네이트온이나 싸이월드를 통해 ㅅㄹㅎ(=사랑해)와 같이 대놓고 말하기는 쑥쓰럽고
상대방이 내 마음을 알아줬으면 하는 마음으로 메세지를 초성을 통해서 남겨 놓곤 하는데요.
시대가 흐름에 따라 카카오톡 상태 메세지를 통해 많이 남겨 놓더라고요.
어떤 의미일까 그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서 혼자 고민 한 적이 있을 텐데요.
그 고민을 덜어드리고자 오늘 "초성 해석기" 사이트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.
<초성 해석기 추천 사이트>
ILAB - 초성체 해석기
첫번째로 소개해드릴 초성 해석기 사이트는 "ILAB" 입니다. 접속 방법은 검색창에 "ILAB -초성체해석기"를 검색하거나 아래 링크를 통해 접속하면 됩니다.
ILAB 초성체해석기 특징으로는 학습에 사용한 코퍼스는 세종계획말뭉치와 나무위키 텍스트 데이터이며, 구어(10MB), 문어(300MB), 위키(6GB)의 추론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. 추론 모델이 커질수록 더 다양한 초성체를 잡아낼 수 있지만 로딩 및 추론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. 입력은 ㄱ~ㅎ까지의 초성과 띄어쓰기, 4종의 구두점(. , ! ?)만 가능하며 나머지 문자들은 인식하지 않습니다.
사용 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.
본인이 궁금한 초성을 입력한 후 구어체(10MB)/문어체(300MB)/위키(6GB) 중 하나를 선택 후 "해석" 버튼을 누르면 해석 후보 리스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용량이 커질수록 로딩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지만
그 만큼 더 다양하고 정확한 초성체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ILAB - 초성체 해석기
초성체 번역기 (Ver.2.1)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Kiwi를 개량하여 초성체를 해석하는 Kneser Ney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. 이전 모델에 비해 문맥이나 문장을 예측하는데 강력한 특징을 보여줍니다. 이��
lab.bab2min.pe.kr
자음퀴즈, 초성퀴즈 족보
그 다음으로 소개해드릴 사이트는 "자음퀴즈,초성퀴즈 족보"라는 사이트입니다.
이 사이트는 주로 일상에서 친구나 가족끼리 초성퀴즈를 할 때 사용하기 최적화된 사이트인데요.
아래 그림과 같이 영화/음악/동식물 등 카테고리 별로 나뉘어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퀴즈를
맞추는 사람 수준에 맞는 단어 선택이 가능합니다.
ex)
음악 : ㅎㅈ -> 행진
인물 : ㅇㅂ -> 원빈
동물 : ㅅㅈ -> 사자
사이트 접속 링크는 아래에 남겨두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자음으로만 검색하세요, 자음퀴즈, 초성퀴즈 족보 - Jaum.kr
자음으로만 검색하세요, 자음퀴즈, 초성퀴즈를 검색해보세요. 정답이 나옵니다.
www.jaum.kr
댓글0